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해외 구독자 유튜브 채널 이름짓기

by 생각마실 2020. 3. 3.

유튜브를 시작하기로 맘먹고 나니 이것저것 생각할 게 많다.

 

 

 

무엇보다 채널 이름을 다시 지어야 했다.

지금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삼인산 꽃뜨래"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 "래" 와 "레" 가 자판에서 혼동스럽다.

  • "ㄲ" 과 "ㄸ" 가 자판에서 불편하다.

  • "꽃뜨레" 가 이미 사용 중이다.

  • "뜨래" 어감이 인위적이다

  • "삼인산" 어감이 "Old' 스럽다.

  • "꽃" 방문하 시분 분들은 겨울에도 꽃을 찾는다. 

  • 많이 창의적이거나 신선해 보이지 않는다.

  • 여섯 글자는 아무래도 부담스럽다.  

 

현재 블로그 이름 "삼인산 꽃뜨래" - 작년 여름의 한 가운데서 촬영한 영상의 잠깐 모습입니다.

                                    

유튜브 시작을 결심하게 된 배경은 해외 구독자 타깃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나의 유튜브 주제와 해외 구독자를 끌어올 수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뭐 콘텐츠 수출이라고 보면 더욱 좋은 거고... !!

 

 

해외 구독자 입장에서도 "삼인산 꽃뜨래" 유튜브 채널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명(saminsan)은 크게 의미가 없다. 

  • "꽃뜨래" 를 영어로 쉽게 옮기기 어렵다. 

  • "garden" 이라는 용어는 너무 흔하다.

  • "garden" 이라는 주제로 매력적인 스토리를 만들기는 어렵다. 

  • 제3세계에 호소할 수 있는 스토리와 채널명이 필요하다. 

  • 두~세음절의 어휘가 필요하다 

결국 모든 사항을 다 고려하자니 너무 힘든 일이었다.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알려주는 채널 네이밍 팁은 다음과 같았다.

  • 유튜브 검색에서 유일할 것

  • 쉽게 주제가 연상될 것

  • 기억하기 쉬울 것

  • 부르기 쉬울 것

  • 5 단어 이내일 것

  • 추후 바꾸지 말 것

 

한결같이 채널 이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큰 흐름에서 나의 네이밍 방향은 다음과 같았다.

 

 1. 주제와 전혀 관계없는 어감의 단어도 괜찮다.

 - 채널이 알려지면 그 이름이 곧 브랜드가 되니까

 

 2. 주제를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어감이면 더욱 좋겠다.

 - 이미 경쟁이 치열한 단점이 있지만

 

 3. 채널명이 바로 검색 키워드와 연결되면 더욱 좋겠다.

 - "... 치과 ... 변호사"와 같이 전문 직업에만 해당되겠지만      

 

 

끝없이 생각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어느 순간 나는 다음과 같이 부지런히 "유튜브 채널 이름 짓기" 검색을 하고 있었다.

  • 유튜브에서 "채널 이름 짓기" 검색
  • 블로그에서 "채널 이름 짓기" 검색
  • 순 우리말 이쁜 이름 짓기
  • 동요 
  • 노동요
  • 가사문학
  • 시집         등등...

 

하지만 찾아볼수록 더욱 어렵기만 했다. 겨우 참신하다 싶은 것은 이미 많이 사용 중이었다. 결국 검색은 포기하고 혼자 생각해 보기로 한다.

 

 

 

 

결국 생각의 막다른 길에서 두 단어를 힘들게 끌어냈다.

이야기(Story) 산책이라는 의미의 마실 + 때 묻지 않은 숲이라는 의미의 여우(Fox

"여우 마실"이라는 최종 채널명이 지어졌다.

 

두 단어 모두 순수 우리말이라는 것과 오로지 나의 힘으로 지었다는 점이 맘에 들었다.

그 외는 아직 모르겠다. 그저 겹치지 않고 상표 출원했다는 것밖에.

(이제와 맘에 들지 않으면 어떡할 건데.!! 이미 채널 이름 짓는 생각은 바닥났는데.) 

 

 

유튜브 채널이름 지으면서 느낀점은

유튜브 이름이 중요하긴 하겠지만, 지금 알차게 채널 운영하시는 분들 보면 채널의 콘텐츠 운영방향과 질에 따라 채널명의 무게와 색깔은 바뀌는 듯하다..

 

무작정 아무렇게만 짓지 않는다면, 결국 콘텐츠 내용이 브랜드를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건 유튜브 채널에서 겹치지 않고 독특해야 합니다. 주제와 가깝지 않다고 해도 브랜드는 만들어 가면 된다고 봅니다.